본문 바로가기
모든경제상식

채권금리의 기준이 되는 채권은 무엇일까? (쉽게 이해하는 채권금리의 원리)

by 경제잡다 2025. 4. 14.
728x90
반응형
SMALL

채권금리의 기준이 되는 채권은 무엇일까? (쉽게 이해하는 채권금리의 원리)

채권금리가 오른다, 내린다는 뉴스 많이 보셨죠?
하지만 실제로 어떤 채권의 매도·매수가 기준이 되어 금리가 결정되는지 궁금하셨을 거예요.
이 글에서는 채권금리의 기준이 되는 채권이 무엇인지, 주식과 비교해 쉽고 명확하게 설명드릴게요.


채권금리란 무엇인가?

채권금리는 보통 시장 금리 또는 **수익률(Yield)**을 말합니다.
이 금리는 채권이 얼마에 거래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어요.

  • 채권 가격 상승 → 채권금리 하락
  • 채권 가격 하락 → 채권금리 상승

즉, 시장에서 채권을 얼마나 사고파느냐에 따라 금리가 움직이는 거예요.


그럼 어떤 채권이 금리 기준이 되는 걸까?

핵심은 이겁니다:

채권금리는 대표 국채(국고채), 특히 **"10년물 국고채"**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왜 10년물 국고채일까?

  • 정부가 발행한 가장 안전한 채권이기 때문이에요.
  • 거래량이 많고 시장에서 벤치마크(기준) 역할을 합니다.
  • 최근에 발행된 10년물 국고채가 기준 금리로 가장 많이 참고됩니다.

→ 이걸 벤치마크 채권이라고 부르며, 실제로 뉴스에 나오는 "채권금리"는 이 채권의 수익률을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과 비교하면 더 쉬워요!

 

주식에서는 **하나의 종목(예: 삼성전자)**이 기준이 되듯,
채권에서는 대표 국고채가 그 역할을 해요.

 

10년물 국고채도 종류가 여러 개인데?

맞습니다.
10년물 국고채도 발행 시점에 따라 잔존 만기, 쿠폰 금리가 다르지만
시장에서 가장 최근에 발행된 채권이 **기준 금리(벤치마크 수익률)**를 형성해요.


채권금리가 오르거나 내리는 이유는?

  • 경기 전망
  •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
  • 기준금리 인상 여부
  • 외국 자본의 이동 등

이런 요소들이 시장 심리에 반영되어 채권이 매수되거나 매도되면서 가격이 변하고, 그 결과 금리가 변하게 되는 거죠.


마무리 요약하면,

  • 채권금리의 기준은 10년물 국고채!
  • 최근에 발행된 국고채가 시장에서 **기준 수익률(금리)**을 형성
  • 주식의 "종목"처럼, 채권도 대표 채권이 기준 역할을 한다
  •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비례 관계
728x90
반응형
LIST